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집회·시위 현장에서도 이는 그대로 적용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안전불감증이 여전히 만연한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인한 감염병 예방 활동 전개 등이 겹치면서 집회·시위 현장에서의 안전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부 집회·현장에서는 안전이 후순위로 밀리고 있다. 4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진행된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의 기습 분향소 설치현장에서도 이런 느낌을 받기에 부족함이 없어 보였다.

이태원참사 유가족들과 시민대책회의는 참사 100일을 하루 앞둔 가운데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 합동분향소에서부터 종로구 광화문 광장으로 향하는 추모 행진을 가졌다. 주최 측의 추산으로 2000여명 참가했는데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집회로 기록될 전망이다.

참가자들은 서울시청 근처에 도착하자 "서울시가 광화문 광장을 막아 시청 앞에 분향소를 설치하려 한다"며 "경찰을 막아고 분향소 설치를 도와달라"고 호소했다. 이후 참가자들이 시청 근처 인도에 있던 경찰 통제선을 밀어내며 공간을 확보하기 시작했다. 이어 이를 막으려는 경찰과 참가자 사이에 물리력 충돌상황이 발생했다.

이 때부터 양 측간의 충돌은 더욱 격렬해졌다. 참가자들은 "추모할 권리를 보장하라"며 경찰이 물러날 것을 외치며 시청 앞 광장 방향 인도로 올라섰다. 야당 의원 등 일부 정치인들고 앞장서 경찰을 등진 채 팔짱을 끼며 물리력을 행사했다. 이후 트럭에서 물품과 천막을 가져와 추모소를 설치했다.

경찰도 물러서지 않았다. 경찰은 "(시청은) 신고한 집회 장소가 아니다"며 "불법행위에 대해 채증하겠다"고 경고했다. 경찰은 재차 "천막 주변에서 물러나기 바란다"며 "매우 협소하고 안전사고가 우려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여기에 서울시 공무원들이 분향소 철거를 위해 진입을 시도하면서 강한 충돌이 발생했고 희생자 유가족 한 명이 현장에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현장에서 쓰러진 유가족은 한동안 의식을 잃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태가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지 않은 것이 다행스러울 정도다. 집회·시위 현장도 안전문제에 있어서는 다른 곳과 다를 바 없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렇지 않다면 이런 사태가 또 다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경찰이 무리하게 나서지 않았다는 점이다. 안타까운 점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대거 투입돼 유가족들과 충돌한 것이다.

물론 서울시나 경찰의 입장을 전혀 모르는 것은 아니다. 갑작스럽게 신고한 장소가 아닌 곳에서 기습적으로 분향소 설치했으니 받아들이기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유가족들의 시청 광장과 광화문 광장에서 갖고자 한 최초의 신고를 허가 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도왔더라면 상황은 달라지지 않았을까. 

참가자들은 이번에 경찰이나 지자체들에게 향후 집회 신고 접수시 최대한 적극적으로 나서 허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안전을 위해서는 평화적인 집회·시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를 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행사의 경우 이태원 참사 100일을 맞아 진행하는 것인 만큼 의미가 있었던 것을 상기한다면 더욱 그렇다.

안전 최우선 집회·시위는 다름 아닌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관심이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일방적인 불허보다 열린 마음으로 최대한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안전 집회·시위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길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icon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RTK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저작권자 © 알티케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