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가 내년 말까지 크게 안정되고 늦어도 2025년까지는 대부분의 주요 경제국들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성장세로 복귀할 것이라는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OECD가 최근 내놓은 2060년까지의 재정 전망 보고서를 인용, 장기적으로 2022년 이후 세계 경제에 성장 지체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OECD는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나타난 공급망 혼란의 후폭풍으로 세계화가 후퇴하면 경제 회복세가 지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책으로 급증한 국가 부채 문제도 반드시 해결해야만 하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항 입항을 기다리는 컨테이너선[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로스앤젤레스(LA)항 입항을 기다리는 컨테이너선[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OECD는 최근 공급망 혼란으로 인해 미국·유럽 등지 국가들이 국가안보와 공공보건에 대한 우려로 생산시설을 본국으로 다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 같은 반세계화 추세는 오히려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어 해외 생산기지의 본국 이전(리쇼어링)이 해외 충격에 대한 노출을 줄일 수 있지만 비효율적이며 무역을 통한 충격 흡수 능력도 떨어뜨릴 것이라면서 결국에는 비용증가와 생산성 하락을 불러와 경제를 약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재개장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디즈니랜드[EPA=연합뉴스]
재개장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디즈니랜드[EPA=연합뉴스]

 

    또 코로나19로 인해 주요 국가들의 내년 부채가 최대 국내총생산(GDP)의 25%만큼 늘어날 것이라면서 장기적인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려면 향후 수년간 세수 확대에 나서는 동시에 세출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OECD는 안정적인 재정 운영을 위해서는 각국이 은퇴 연령 상향 등을 통한 연금 비용 축소와 고용강화를 위한 노동 개혁에 나서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향후 수십년간 성장 잠재력에 심각한 타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국고 확충을 위해 증세를 권고하지는 않지만, 모든 회원국이 국가채무비율 상승을 막기 위해서는 증세에 나설 필요가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